어떤 골통품 가게에서 오랫동안 팔리지 않은 한 상품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어느날 점원이 실수로 물건의 가격에 0을 더 붙이는 실수가 있었습니다.
일반적으로 가격이 비싸지면 물건은 팔리지 않아야 정상이지만, 하루도 되지않아서 불티나게 팔렸다는 일화가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을 베블런 효과(Veblen Effect)라고 합니다.
이러한 개념은 ‘유한계급론’이라는 책을 쓴 베블런이 처음 도입을 하였습니다. 그는 이러현 현상을 설명을 하면서 황금 만능 주의 사회를 비판하였습니다.
이와 유사한 현상으로 ‘기펜의 역설’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기펜의 역설은 수요법칙에서 예외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가격이 떨어지면 수요가 하락 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과시욕이나 허영심을 채우기 위하여 고가의 물품을 구입을 하는 고객은 값이 오르면 오를 수록 수요가 증가하고 값이 떨어지면 누구나 구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구매를 하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베블런 효과는 소비 편승효과와 같이 발휘되기도 합니다.
이러한 점을 이용하여 마켓팅을 하는 것이 귀족 마케팅 또는 VIP마케팅이라고 합니다.